변화, 이것을 위해
길이 없는 세상에 새로운 길을 만드는 아이들
한 학부모가 면담을 요청했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아이가 프로그래밍을 배우면서 몇 가지 변화가 생겼는데,
부모가 짜준 스케줄대로, 부모가 원하는 학원교과목을 그냥 따라만 와주던 아이가
자기 스스로 '음악학원을 보내달라', '미술학원을 보내달라' 하면서
하고 싶은 것을 적극적으로 말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그 부모님은 아이가 달라진 것이 소프트웨어 교육 덕분이라고 생각하셨는지,
역시 본인의 선택이 옳았다는 확신이 있어 보였습니다.
하지만 전 이렇게 말씀드렸습니다. “그건 아이가 소프트웨어를 배워서가 아니라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기 때문입니다”라고요.
일반적으로 부모님은 아이들에게 ‘What' 을 이야기합니다.
'수학 배워야 한다'. '영어 공부 해야 한다’ 말하면서
수학의 쓰임새가 단순히 교과나 점수에만 있는 것이 아님을,
영어를 잘 하면 어떤 기회가 더 펼쳐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해주지 않습니다.
이와 달리 교육 기관은 ‘How'를 이야기합니다.
‘맞춤식 교육이다’, ‘외국 OO 기관의 커리큘럼이다.’, ‘플립교육이다.’
차별화 된 방법으로 기존 교육방식의 한계를 뛰어 넘어야 한다고 외치지요.
그러나 아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스스로 공부하게 하는 것은
‘Why’,즉 '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가?'를 경험할 때입니다.
왜 하는지에 대한 스스로의 깨달음이 없다면 공부는 단지 대학에 가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며
지치고 재미없는 것으로만 인식됩니다.
아이들은 멋진 게임과 앱을 만들 때 프로그래밍이라는 논리 체계 뿐만 아니라
수학 지식이 필요하고, 멋진 음악과 디자인, 그리고 주변 사물과 사람에 대한 지식과
세계관이 필요한 것을 인식하게 됩니다.
바로 자신이 왜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지 음악과 미술을 배워야 하는지
책을 통해 사람과 세상을 알아야 하는지 깨닫는 순간이지요.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만들기 위해서요.
그리고는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 스스로 찾고 배우게 됩니다.
어린 시절, 입시에 휘둘리기 전에
아이들이 자신의 동경하는 세계를 직접 경험하는 것 보다 더 필요한 일이 있을까요?
현대사회의 청소년 소외 현상은 아주 오랜 사춘기를 지내는 그들에게
‘학생’이라는, 교실에 앉아 교육을 소비만 하는
사회의 비생산적인 역할만을 강요하는 데 그 원인이 있습니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입니다.
자신을 표현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때 존재 이유를 깨닫습니다.
다행히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터넷-컴퓨터와 같은 도구를 통해
자신만의 재능을 쉽게 구성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 아이들은 시험 성적 말고도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할 수 있는 사람인지 세상에 보여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곳의 학생들은 디지털 도구를 이용해
사람과 사회에 가치 있는 무언가를 창출합니다.
‘주어진 문제를 얼마나 적게 틀리는가?’의 세상에서
‘내가 세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의 세계로 아이들을 보내려 합니다.
길이 없는 세상에 새로운 길을 만드는 아이들이 될 것입니다.
학생들이 자신만의 재능을 발견하고 표현하도록 돕기위해 WMS는 마이크로 스쿨로 운영됩니다.
마이크로 스쿨은 새로운 교육의 필요를 느낀 분들이 교육 공동체를 이루어 스스로 학교를 운영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15~60명의 학생으로 작게 운영하고 학생과 학생, 학생과 선생님이 더 긴밀한 소통을 하며
개개인의 역량과 재능에 맞추어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Way Maker School도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합니다.
코치당 학생수를 7명 이하로 두어 각 학생들의 다양한 재능이 꽃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영국에서 시작된 마이크로 스쿨 운동은 현재 미국으로확대되어 IT기업의 임직원과 의사, 변호사등의
전문직종사자의 자녀들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